X발 초전도체 소식 떴다

레벨아이콘 수근수근
조회 60 추천 0 23.08.01 (화) 12:49





 

https://twitter.com/Andercot/status/1686215574177841152?t=epckcOUQOLNNb7B0gqr4MA&s=19

 

 

미국 국립연구소(LBNL)의 연구 결과는 상온 상압 초전도체로서 LK-99를 뒷받침합니다.

 

1시간 전에 아카이브에 게시된 시뮬레이션은 현대 재료 과학과 응용 물리학의 성배로서 LK-99를 뒷받침합니다.

(arxiv.org/abs/2307.16892)

 

일반 영어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:

- 이 시뮬레이션은 구리 원자가 결정 구조로 침투하여 납 원자를 대체함으로써 결정이 약간 변형되고 0.5% 수축하는, 원래 한국인 저자들이 제안한 물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델링했습니다. 이 독특한 구조는 이 놀라운 특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안되었습니다.

 

-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의 @sineatrix는 에너지부의 강력한 컴퓨팅 성능을 사용하여 이를 시뮬레이션하고 이 물질의 '전자 구조'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, 즉 물질에서 사용 가능한 전도 경로가 무엇인지 살펴봤습니다.

 

- 그 결과 전자가 '초전도'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과 위치에 있는 전자의 전도 경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.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, '해발 0피트'와 같이 전기 에너지의 해수면과 같은 '페르미 표면'에 가까웠습니다. 현재로서는 페르미 표면에 가까운 전도 경로가 많을수록 초전도할 수 있는 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(비행기가 바다 표면에 가까이 날아갈 때 더 많은 양력을 얻는 '지면 효과'로 인해 더 쉽게 비행할 수 있는 것과 비유할 수 있습니다).

 

 

특히 이 도표는 페르미 표면 위와 아래를 가로지르는 '밴드', 즉 전자 경로를 보여줍니다.

 

- 마지막으로, 이러한 흥미로운 전도 경로는 구리 원자가 결정 격자에서 가능성이 낮은 위치, 즉 '더 높은 에너지'의 결합 부위로 침투할 때만 형성됩니다. 즉, 결정의 극히 일부분만 적절한 위치에 구리가 결합하기 때문에 이 물질은 합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 

이것은 인류에게 엄청난 낙관적인 소식입니다.

 

https://m.dcinside.com/board/thesingularity/188682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한줄요약) 합성하기 어려워 보이고, 시뮬레이션 결과는 좋다

 

X발이라서 본인이 맞는지, 공신력 있는지는 확인안해봄

프로필사진
레벨아이콘 수근수근 | 등록된 오늘의 한마디가 없습니다. | SINCE 2018.08.02
게시글 모두보기 +

댓글 작성 (0/1000)

비밀글

0개의 댓글과 0답글이 있습니다.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